[영남일보][효성병원과 함께하는 생활 속 건강] 임신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자 효성병원 작성일14-04-01 00:00 조회2,918회관련링크
본문
[효성병원과 함께하는 생활 속 건강] 임신중독
임신 초기에는 단순히 혈압만 오르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임신중독이 진행될수록 몸이 붓거나 소변량이 줄고 두통과 윗배 통증, 시야장애, 경련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증상이 생긴다면 이미 질환이 많이 진행됐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임신 후반기에 갑자기 진행될 수도 있다. 임신 32주에 접어든 한 산모는 새벽에 머리를 감싸고 급하게 분만실을 찾았다.
출산 전 진찰에서 혈압도 정상이고 비만이나 당뇨 등 특별한 원인도 없었다. 이 산모는 사흘 전부터 속에 메스껍고 머리가 많이 아팠다고 한다. 별일이 아닐 거라며 참다가 약국에서 두통약을 사서 복용했다.
하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고 급기야 새벽에 산부인과 병원을 찾았다. 이 산모의 혈압은 이미 수축기 190㎜Hg, 이완기 120㎜Hg까지 높아졌고, 시야도 흐려진 상태였다. 응급차를 타고 대학병원으로 옮겨 제왕절개로 분만했지만, 뇌출혈이 와서 경련까지 일으켰다. 이처럼 임신중독증은 급격히 악화되기 때문에 특이 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가장 원칙적인 치료는 분만이다. 34주 이후에는 분만이 원칙이며, 34주 이전의 경우 조산 위험성과 임신 중독증으로 인한 태아나 산모의 위험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질환이 많이 진행되고 발작을 일으키면 무조건 분만을 해야 한다.
먼저 유도분만을 시도하며, 반드시 제왕절개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태아나 산모의 몸이 좋지 않아 빠르게 분만이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술을 먼저 고려한다. 함부로 혈압약이나 다른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태아로 가는 혈액량을 조절하지 못해 성장발육 부전이나 심한 경우 태아 사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임신중독증을 예방하기 위해 입증된 약물이나 음식은 없으므로 임신전 당뇨나 고혈압, 비만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고 치료받아야 한다. <효성병원 산부인과 성효정 과장>
<출처 : 영남일보> - 2014년 4월 1일 게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